▲ 김재영(前 청주고 교장·칼럼니스트)

오래전 봄에 설악산 여행길에 이승만 전 대통령 별장에 들릴 기회가 있었다.

건국 초기의 어려운 국정을 이끌어가던 그 분의 검소한 생활에 머리가 숙여졌다.

최근 고위 공직자들이 수십억의 뇌물을 받고 교도소에 수감되는 기사는 하루 세끼와 잠자리를 해결하지 못하고 노숙자가 늘어가는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를 우울하게 한다.

이승만 전(前) 대통령의 부인인 프란체스카 여사가 손자에게 깎아준 몽당연필과 기워진 내의, 중국의 모택동(毛澤東)의 가풍(家風) 전시회에 나온 기워진 수건은 지도자들의 검소한 절제 생활을 엿 보게 한다.

논어(論語)에 기신정 불령이행(其身正 不令而行), “윗사람이 몸가짐을 바로 하면 명령을 하지 않아도 저절로 행하여진다”고 했다.

최근에 불거져 나오는 지도층 인사들의 억대의 뇌물 수수사건은 열심히 땀 흘려 살아가는 민초(民草)들의 삶의 의욕을 꺾는다.

영국의 시인인 퀼즈는 “사치란 유혹적인 쾌락이요 비정상적인 환락이기에, 그 입에는 꿀이, 그 마음에는 쓸개즙이, 그 꼬리에는 바늘가시가 있다”고 했고, 포박자(抱朴子)는 “사치는 목숨을 치는 도끼”라고 하여 사치를 경계하고 있다.

학교의 분실물센터에는 학생들이 찾아가지 않는 시계며 학용품이 쌓여 잇는데, 세계적 거부의 아들인 록펄러 2세는 은행에서 돈을 찾아가다 굴러 떨어진 1센트 동전을 찾기 위해서 책상을 치우고 밑으로 기어 들어가 찾았다는 말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사치는 사람에게 있어서의 술처럼, 처음에는 사람이 주도하다가 다음엔 사치가 사치를 충동하게 되고 마지막엔 사치가 사람을 잡아먹게 된다”고 했다.

지난날 우리는 하루 두 끼를 먹으면서도 주린 배를 움켜쥐고도 남의 물건을 훔치지 않았는데, 오늘날 젊은이들 중에는 유흥비를 마련하기 위해서 강·절도를 일삼고 살인까지 저지르기도 한다.

과잉보호 속에 무분별한 사치 풍조 속에 살아가는 오늘의 일부 부유층 자녀들을 생각해 보자.

이대로는 안 된다.

청소년들에게 어려움을 참고 견디며 이겨낼 수 있도록 노작교육(勞作敎育)과 절제 교육을 통하여 검소하고 절제하는 생활이 이루어지도록 가정과 사회, 학교에서 다 함께 노력해야겠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