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순

운동을 시작했다. 밥맛이 좋아 당기는 대로 먹다보니 체중도 함께 늘어났다. 조금만 걸어도 숨이 차오른다. 안되겠다 싶어 헬스장을 찾아 3개월 치를 지불했다. 그동안 등산이나 하천변을 돌며 조깅하듯이 하는 운동은 많이 해 보았다. 하지만 돈을 지불하고 하는 운동은 처음인지라 굳게 마음을 먹고 시작을 했다. 첫날은 트레이너에게 운동하는 순서와 방법을 배웠다. 본격적인 운동에 앞서 호흡법을 알려 준다. 세상에서 제일 쉬운 일이 숨쉬기 인 듯 보이지만 실상, 숨쉬기를 잘하는 일이 가장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요즘 깨닫는다.

운동 할 때의 호흡 요령은 힘을 줄때는 날숨으로 하고, 힘을 뺄 때는 들숨으로 해야 한다. 만일 숨을 반대로 쉰다면 복압이 증가하면서 혈압이 올라간다. 고혈압 환자나 나이든 사람은 자칫 위험 할 수도 있다. 호흡은 체내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날숨으로 내뿜고, 신선한 산소를 들숨으로 들이마시는 행위이다. 숨을 충분히 내뱉지 못하면 폐 속에 이산화탄소가 남게 되어 공기를 마실 때 산소가 몸속 깊이 들어오지 못한다고 한다. 그럼에도 나는 힘을 줄때는 버릇처럼 숨을 멈추게 되고, 기구에서 힘을 뺄 때는 어김없이 나도 모르게 숨을 내쉬곤 했다. 들숨과 날숨만 잘 쉬어도 스트레스가 해소된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 나는 ‘숨쉬기’가 지독한 스트레스였다.

‘숨’은 사람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들이쉬고, 내쉬고 이것은 단순한 호흡이면서도 우리의 삶과도 직결된 운동인 셈이다. 쓸 만큼 가졌으면 버릴 만큼 버리라는 말이 있다. 한번 들숨으로 마신공기는 다시 날숨으로 뱉어내야하는 것이 이치이다. 그 누구도 이것을 거스르게 되면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마치 세상살이와 일맥상통하지 않는가.

‘들숨’이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 안으로 채워야 할 욕심의 장치라면, ‘날숨’은 가득 채워진 마음 안에서, 쓰고 남은 찌꺼기를 내보내야 하는 과정의 장치로 보아도 무방하리라. 때문에 마음 안에 쌓인 욕심의 크기만큼 버려야 할 것들은 더 많을 것이다. 그동안 나는 얼마나 많은 것을 갖기 위해 들숨을 쉬었는지 되돌아본다. 내가 가진 것이 남보다 더 작은듯하여 탐닉하고, 그것을 갖기 위해 노력이라는 말로 치장을 하며 살아온 것은 아닐까. ‘쉰다’라는 표현은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것에서 파생된 개념이다. 그렇듯 우리의 삶도 들숨과 날숨이 함께 공존해야 하는 이치임에도 나는 아주 쉬운 것도 모르고 살아왔다.

얼마 전 법정스님은 홀연히 멸도(滅道)에 드셨다. 스님의 삶은 ‘소유하지 않음으로 더 크게 소유하는 것’이라는 것을 몸소 실천한 분이셨다. 스님의 몸은 대나무 평상에 가사만 덮인 채로 형형색색 만장도, 꽃상여도 없는 행렬이었다. 생전의 바람이셨던 ‘무소유’를 그렇게 보여 주시고 계셨다. 그 모습을 보면서 나는 그분의 삶이 들숨과 날숨의 삶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오랜 세월을 깊은 들숨으로 채워 놓았을 당신의 커다란 빈마음(無心)은, 긴 날숨으로 우리들에게 각인이 되어 남았다.

이제 나도 긴 날숨을 쉴 수 있도록 연습을 해야겠다. 헌데 가진 것 만큼 내 쉬어야 할 텐데 걱정이다. 사실은 내 안에 얼마나 많은 것이 쌓여있는지도 가늠을 할 수가 없다. ‘세상은 지금 천천히 들숨을 쉬는 중, 해가 밝으면 도시는 다시 날숨을 쉬며 힘차게 살아나겠지.’ 힘들수록 내쉬어 한다는 운동 호흡법, 마치 스님의 죽비소리처럼 “딱, 딱” 내 마음을 세게 내리치고 있다.

<가섭산의 바람소리>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