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준 음성교육장 칼럼

 감우재(甘雨재)

  음성의 6.25 전적지로 유명한 감우재는 왜 감우재일까?

6.25 격전지라면 보은의 ‘피반령’처럼 ‘피’자가 들어있거나 거친 말의 지명이 어울릴텐데 ‘감우재’라는 지명은 ‘감우(甘雨)’라는 글자의 의미가 좋은 이미지를 풍겨주고 있으며, 어느 시인은 6.25 전쟁에서 우리 국군의 첫 승전지를 기리는 마음으로 단비(甘雨)가 내린다고 표현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감우재’라는 지명이 생겨나게 된 어원을 찾아내는 일은 지금까지 음성 주민들이 지녀왔던 좋은 이미지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선다. 그렇더라도 우리 조상들의 뿌리를 찾는다는 것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는 일이기에 한번 파헤쳐보고자 한다.

이곳은 원래 ‘지름티’, ‘지름치’, ‘지름고개’, ‘유티(油峙)’로 불리워 왔는데 ‘감우재’라는 명칭이 또 생기게 된 것은 지명의 뿌리를 밝히는 데 아주 큰 의미를 지닌다.‘감우재’의 ‘감’은 ‘크다’는 의미의 고어가 쓰인 것이다. ‘재’는 순우리말이므로 ‘감우’만을 ‘甘雨’로 표기할 수는 없는 것이다. 분명히 ‘재’라는 말이 쓰이던 시대의 고어 ‘가마’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여러 지역의 지명에서 ‘감, ‘검, ‘감우, ‘가마, ‘검우, ‘검은, ‘거문, ‘거미’로 표기되고 있는 지명은 지형으로 보아 ‘크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무리가 없다.

‘큰 솥’이라는 의미로 ‘가마솥’이라는 말이 지금까지 쓰여오고 있는 예를 볼 때 ‘가마’라는 고어가 ‘크다’의 의미로 쓰였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할 것이다.

다른 지역의 지명에서도 청원군 남이면의 ‘가마리(큰마을)’를 비롯하여 ‘가마뜰(여주군 점동면 흔암리 - 큰 들)’, ’거문바위(청원근 북이면 금암리)‘는 큰 바위의 의미인데도 그 뜻을 잃어버려 ’거문고‘를 닮은 바위’라고 유추하여 한자로 ‘금암리(琴岩里)’로 표기하고 있으며 우리 음성지역에도 ’거문골(소이 후미)’은 ’거문‘의 의미를 잘 모르니 주민들이 ’어두운 골짜기‘의 의미로 유추하고 있으나 ’큰 마을‘의 의미임이 분명하며, ’감곡‘의 어원이 되는 ’가미실(감곡면)‘ 마을은 ’가미‘를 ’개미‘로 유추하여 ’개미실‘로 불리거나 한자로 ’감미곡‘으로 표기하기도 하였으나 역시 ’큰 마을‘을 가리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밖에도 ’검부리(원남 문암)는 ‘큰 벌판’ 또는 ‘큰 산부리‘를 의미하는 지명이며, ’가마골(원남 하로)‘은 ’큰 골짜기, 또는 큰 마을‘을 가리키는 지명임을 쉽게 짐작할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감우재’의 원 지명은 ‘지름고개’로 오랫동안 불리어 왔으며 ‘지름티’, ‘지름치’로도 불리다가 한자로 표기할 때 ‘지름’을 ‘기름’으로 유추하여 ‘유티(油峙)’로 적었던 것이다.

주민들은 ‘지름길이 되는 고개’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이가 있으나 고개라는 것은 그 자체가 지름길이 되기 위한 통로이므로 그보다는 지형으로 보아 일반적으로 지명에서 나타나는 ‘긴 고개’를 의미하는 ‘기른 고개’ ‘길음고개’가 구개음화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고개가 길어서 넘어가는데 매우 지루하고 힘이 들었을 것이므로 ‘긴 고개’의 의미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지름고개라는 지명이 있는데도 ‘감우재’라는 명칭이 또 생긴 것은 ‘감우재’가 처음에는 고유지명이 아니라 일반 명칭으로서 ‘큰 고개’의 의미로 쓰이다가 그 의미를 잃게 되면서 두 가지가 모두 지명으로 정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