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 준 음성교육지원청 교육장

개꼴과 개고개

 

대소면 수태리에 ‘개꼴’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주민들은 늘 써온 이름이기에 자연스럽게 사용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부르기가 좀 어색하게 느낄 것이다.

생극면 임곡리의 ‘개바위’는 ‘개처럼 생긴 바위’라고 전해지며 맹동면 봉현리의 ‘개오개’라는 마을은 주변에 ‘개고개’라는 고개가 있어서 생긴 이름인데 한자로 ‘개현(介峴)’으로 표기하고 있다.

충북 지역에도 괴산읍 대덕리의 ‘개고개’, 괴산읍 제월리의 ‘개다리, 개평(開坪), 개뜰, 갯들’, 괴산군 불정면 신흥리와 소수면 수리의 ‘개오개’ 등과 같이 ‘개’자가 붙은 지명이 의외로 많다.

‘개’란 ‘참’의 상대어로서 ‘참’이 ‘참뜻, 참솔, 참빗, 참나무, 참두릅, 참기름, 참숯, 참나물, 참깨, 참외, 참새’ 등에 쓰인데 비해 ‘개’는 ‘개떡, 개나리꽃, 개여울, 개울, 개뿔, 개구멍, 개털, 개떼’ 등 ‘작다, 어리다, 좀 못하다’라는 등의 뜻으로 사용되어온 순수한 우리말이다.

전설의 이야기나 땅이름에 ‘개고개’라는 지명이 많이 나오는 것은 우리나라의 지형 특성상 산등성이마다 작은 고개들이 많은데 이를 ‘개고개’라고 불렀음에서 오는 지명들이며 머슴 집의 아들이나 좀 작은 아이들을 옛날에는 ‘개똥이’라고 부른다든지, ‘개똥벌레, 개똥불’처럼 반딧불을 표현하는 말들도 ‘작다’는 의미가 들어 있는 단어들이다.

따라서 생극면 임곡리의 ‘개바위’를 ‘개처럼 생긴 바위’라 해석한 것은 ‘개’를 음이 같은 ‘개(犬)’와 연관시킨 것에 불과하며 ‘작은 바위’의 의미로 보아야 할 것이요, 맹동면 봉현리의 ‘개오개’라는 마을은 ‘개고개’에서 ‘ㄱ'이 탈락한 현상으로 보아 전국에 산재한 ‘개고개’, ‘개오개’ 와 함께 ‘작은 고개’라는 의미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런데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개’의 의미가 멍멍이 개로 변질되면서 순수 우리말과 합성어를 이루던 ‘개’가 한자와 합성어를 이루기도 하는 등 의미에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개수작, 개작살, 개망신, 개소문, 개꿈, 개지랄, 개팔자, 개판, 개나발, 개끗발, 개패, 개꼴, 개폼’ 등 ‘작다’는 의미보다는 ‘좀 못하다’의 의미로 주로 쓰이다 보니 ‘개’는 멍멍이 개로 이미지가 부각되어 상스러운 욕으로까지 혼용되면서 ‘참’과 함께 우리민족이 즐겨 쓰는 순우리말의 ‘개’가 멍멍이 개한테 쫓겨나고 만 것이다.

그러나 대소면 수태리의 ‘개꼴’에서 ‘개’는 위와 같은 의미의 ‘개(犬)’가 아니라 다른 지역의 지명예로 보아 ‘가꼴(邊-) 〉갓꼴〉개꼴’의 변화로 보아야 할 것이다.

대소면 성본리의 ‘각골(覺谷)’, 감곡면 사곡리의 ‘각골’ 은 ‘가꼴’의 음이 그대로 전해져 온 예이며, 대소면 미곡리의 ‘갯골’은 한자로 ‘가곡(佳谷)’으로 표기한 것으로 보아 ‘개꼴’은 처음부터 ‘개꼴’이 아니라 ‘가골’에서 그 어원을 찾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개꼴’을 ‘산이나 어떤 지형지물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마을’이라는 의미로, ‘개고개’는 ‘작은 고개’로 해석해본다면 멍멍이 개(犬)의 불명예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겠는가?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