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준 음성교육장

장고개

 

‘장고개’라는 지명은 전국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지명인데 한결같이 ‘장터로 넘어가는 고개’라고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옛날에는 장이 서는 저자거리가 마을마다 있는 것이 아니라 먼거리에 있어서 여러 고개를 넘고 넘어서 가야 하므로 어떤 고개를 장터로 가는 고개라고 구분지어 지명으로 성립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그리고 고개란 오가는 양면성이 있기 때문에 모든 고개가 넘어가면 장터를 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이 고개를 넘어야만 장터로 갈 수 있다는 지명으로서의 필연적 연관성을 가지기가 어렵다.

음성 지역에서 ‘장고개’라는 지명은 생극면 관성리, 금왕읍 각회리, 금왕읍 쌍봉리, 금왕읍 용계리, 맹동면 본성리, 음성읍 용산리, 생극면 차곡리, 삼성면 덕정리, 소이면 갑산리 등 널리 분포되어 있으므로 장고개는 일반 명사로 쓰이던 말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오랜 옛날에 고개를 가리키는 옛말이 ‘잣’이었으므로 잣의 의미를 점차 잃어버리면서 뒤에 ‘고개’라는 말을 붙이게 되어 ‘잣고개’라는 지명이 여러 지역에서 흔히 쓰이고 있다.

충주 가금면, 광주광역시 북구, 경기도 남양주 등에서 ‘잣고개’로 쓰이고 있으며, 음성 향교에서 한벌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잣고개’라고 하는데 한자로 ‘백치(栢峙)’로 표기한 것들을 볼 수가 있다. 또한 음성읍 용산리에 있는 잣고개는 ‘잣고개 〉백티 〉배티 〉이티(梨티)’로 변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예는 청주시 청원구 초평에 있는 ‘이티고개(梨峙)’와 원남면 조촌리의 ‘배티골’을 비롯하여 ‘배티’, ‘배고개’, ‘백곡’ 이라는 지명에서 찾아볼 수가 있다.

금왕읍 백야리의 어원도 역시 ‘잣고개’에서 찾아볼 수가 있다. 즉 ‘백야’라는 말은 ‘배태’, ‘배터’라고도 불리며 ‘잣고개 〉백티 〉배티 〉배태고개’의 변화 과정에서 ‘배태’, ‘배티’가 생겨나고 결국 ‘백야’라는 지명이 생겨났다고 보는 것이다.

전남 해남의 ‘백야리(白也里)’란 지명에서 보면 하얀색 흙토(白土)가 산출되고, 마을의 형국이 어조사 ‘야(也)’자형이어서 ‘히재, 히야재’, 또는 ‘백야치, 백치, 백야’라 유래하였다고 하는데 ‘백치’ ‘백야치’라는 말이 전해오는 것을 보면 역시 ‘잣고개’에서 온 것임을 짐작할 수 있으며 그밖에도 ‘백야리’는 경남 의령, 여수 화정, 전남 해남 등에 분포하고 있다.

삼성면 대사리의 ‘수리티고개’를 다른 이름으로 ‘이티’라고 부르는 것도 ‘수리(높은)+티(고개) +고개’에서 ‘수리티고개’라는 지명이 만들어지고, 보통명사로 쓰이던 ‘잣고개’는 그대로 전해지다가 ‘백티 〉이티’의 변화 과정을 거쳐 두 가지 지명이 전해진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음성읍의 향교에서 한벌리로 넘어가는 ‘잣고개’는 ‘장고개’와 혼용되고 있는데, 옛문헌에 ‘백치(栢峙)’로 기록되어 있어 ‘잣고개’라 불리어오던 지명이 ‘장고개’로 변해온 것을 여실히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여러 지명에서의 ‘장고개’는 ‘장(저자)’과의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보아‘잣고개 〉장고개’의 변화로 유추해 보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고 생각된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