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 준 음성교육지원청 교육장

바랑골과 바래미산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주변에 ‘낭떠러지', ‘벼랑’과 같은 지형이 산재해 있어서 지형의 특색을 잘 나타내므로 지명으로 많이 활용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그런데 ‘벼랑’이라는 말이 여러 가지로 음이 변하면서 다양한 지명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음성 지역에서 ‘벼락’으로 표기된 지명은 ‘벼락바위’(음성 삼생, 음성 소여, 원남 문암, 감곡 단평), ‘벼락박골’(음성 소여), ‘벼락재’(금왕 용계, 금왕 백야) 등이 있으며 ‘별’로 표기된 지역은 ‘채니별’(음성 용산), ‘별산댕이, 별선, 별선리’(금왕 오산)이 나타나는데 ‘별산’을 ‘벼락산’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보아 ‘별’이 벼락‘에서 온 말임을 알 수 있다. ‘벼락재’(음성 용계)를 ‘바리고개’라고도 하는 것을 보면 ‘벼락’이 ‘바리’로 변화되기도 하였으며, ‘버래머리’(삼성 청룡)는 ‘벼랑이 있는 산마루’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밖에도 ‘비알’(생극 신양), ‘베련골, 비룡들’(삼성 덕정), ‘비루들’(감곡 사곡), ‘비랭이들’(음성 삼생), ‘비렁뱅이들’(삼성 덕정) 등이 모두 ‘벼랑’의 의미들로 추정된다.

특히 재미있는 것은 ‘바랑’으로 변한 지명이 엉뚱한 의미로 표기되고 해석되는 것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랑골’(소이 충도, 금왕 육령, 원남 마송, 원남 주봉 - 바랑처럼 생긴 골짜기), ‘바랑산’(맹동 쌍정 - 바랑처럼 생긴 산)을 비롯하여 ‘바래미’(금왕 무극)는 아예 한자로 ‘발산(鉢山)’으로 표기되고 있으며, 음성읍 소여리의 ‘바랑골’은 ‘바리골’이라고도 불리며 한자로 ’족지곡(足芝谷)’으로 표기한 것은 ‘바리’를 ‘발(足)’로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바랑’이라는 것은 원래 ‘낭떠러지’, ‘경사가 심한 지형인 벼랑’을 가리키는 말이다. 다른 지역의 예에서도 보면 ‘바랑골’(경기 파주, 경북 안동, 강원 챵구, 증평 도안, 청주 가경, 청원 내수, 청원 부용, 청원 미원, 보은 삼승)이 많이 보이는데 이곳의 주민들도 마찬가지로 ‘지형이 바랑처럼 생겨서 바랑골이라고 한다’는 것으로 보아 ‘벼랑’의 의미가 ‘바랑’으로 소리가 변하면서 자연스럽게 ‘중의 밥그릇’을 의미하는 ‘바랑’으로 해석하여 한자로는 ‘발산(鉢山)’으로 표기하게 된 것이다.

이와같이 지명에서 ‘벼랑’의 변화를 음운학적으로 살펴보면 벼랑의 고어인 ‘벼’가 모음이 축약되어 ‘별’로 표기되면서 별(星)의 의미로 유추하는 계기가 되며, 모음이 ㅜ로 바뀌면서 ‘벼루’가 되매 벼루를 ‘연(硯)’과 혼동하여 엉뚱한 표기를 낳게 되는 것이다. ‘벼루’가 ‘비리→비루 →베루→베레’, ‘비알’이 ‘바랑→비랭이→빙에→빙이’로 그리고 ‘비렁뱅이’로까지 변화를 하게 되어 ‘비렁뱅이들’(삼성 덕정), ‘비랭이들’의 지명이 생기면서 ‘비렁뱅이(거지)’와 연관지은 전설까지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