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 준 음성교육지원청교육장

 가래실과 가래나무

 삼성면 덕정리의 ‘가래실’은 옛날 ‘지내면(枝內面)’의 중심 마을이었으며 골가래실과 방죽가래실로 나누어진다.

음성 지역에서 ‘가래’가 지명에 쓰인 예로는

'가래들(금왕 유촌, 대소 성본), 가래뭉지(楸洞,대소 삼정), 가래실고개(금왕 삼봉) 등이 있으며 생극면 임곡리의 ‘가래산’은 삼성면 덕정리의 ‘가래실’과 같이 한자로 ‘지내산(枝內山)으로 표기되어 ’지네가 많은 산‘이라는 유래가 전해져오고 있으나 공통적으로 ‘가래’를 음차하여 ‘가내(枝內)’로 표기한 것은 의미상으로도 ‘갈라진다’는 의미를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추측이 된다.

많은 지역의 지명에 나타나는 ‘가래실, 가래울, 가래골’(청원 북이, 청원 낭성, 괴산 불정, 괴산 장연, 중원 앙성, 보은 회남, 단양 덕상, 영동 추풍령) 들이 ‘가래’를 ‘가래나무(楸)’로 해석하여 ‘추동(楸洞)’이라 표기하고 있으나 ‘가래’의 의미를 알 수가 없어 음이 같은 ‘가래나무’를 연상한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해석을 하는 이유는 나무이름이 지명으로 만들어질 연관성이 아주 적기 때문이다. 즉 나무란 어느 지역에나 퍼져 있으므로 소나무, 밤나무와 연관된 지명이 ‘솔(작은)’, 밤(배미)‘등과 같이 비슷한 음으로 인하여 누구나 흔히 알고 있는 나무이름을 유추하고 있으나 어원을 살펴보면 전혀 다른 의미인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앞에서 음성읍 용산리의 ‘거린내’와 삼성면 덕정리의 ‘냇거름’의 어원을 이야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갈라지다’라는 의미의 고어의 어근 ‘갈’이 ‘가르’, ‘가리’, ‘거르’, ‘거리’로 변화되어 여러 지명에 쓰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맹동면 인곡리의 ‘가락골’, 또는 ‘갈골’도 ‘갈라지는 골짜기’, ‘갈라지는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란 의미의 ‘가래골’, ‘가래실’과 같은 형태일 것이며 맹동면 용촌리의 ‘추동골’은 ‘가래골’이 ‘추동골(楸洞)’이라는 한자로 표기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현상은 다른 지역에서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있는 ‘가리봉동(加里峰洞)’은 주위의 작은 봉우리가 이어진 곳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며, 구로구의 전체적인 땅 모양이 바지가랑이처럼 갈라진 것과 연관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강원도 설악산 가리능선의 ‘가리봉(加里峰)’은 ‘가리산’이라고도 하며 산 아래 가리산리, 가리초등학교 등과 강원도 원주의 ‘가리봉’에 쓰인 ‘가리’가 위와같이 ‘갈라지다’라는 의미임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원동에서 발원하여 서귀포시 강정동을 지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정천’이라는 하천이 있는데 옛 명칭은 ‘가내천(加內川)’ 또는 ‘가래천(加來川)’이라고 불렸다고 하며 같은 지역을 가리키는 ‘거린내’라는 말도 전해 온다. 이를 볼 때 ‘가래’와 ‘거리’가 ‘갈라지다’라는 의미로 해석하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하겠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