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 준 음성교육지원청 교육장

무너미

 

음성읍 평곡리에 ‘무너미’라는 지명이 전해져 오는데 ‘무너미’란 무엇을 의미하는 말일까?

‘너미’란 ‘넘다’라는 말에서 온 것으로 ‘고개’라는 말보다 먼저 쓰인 아름답고 순수한 우리말이다. 높은 곳을 넘어가는 지형을 가리키는 말은 한자가 사용되면서 치(峙), 현(峴), 령(嶺) 등의 한자어가 사용되었지만 순수한 우리말로 ‘고개’란 말과 ‘티’, ‘잣’, ‘재’ 가 있는데 아마도 미묘한 의미의 차이는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서 언어의 변화에 따라 그 의미를 잃게 되니 중복해 쓰이거나 잘못 해석한 의미가 한자로 표기되는 과정에서 엉뚱하게 변해가는 등 여러 가지 혼란이 일어나게 되었던 것이다. ‘잣’과 ‘재’가 오래된 옛말이고 후에 ‘고개’라는 말이 나와 지금까지도 널리 쓰이고 있는데 더 오래전에 쓰이던 말로 지명에서 ‘너미’란 흔적을 찾아볼 수가 있다.

지명에서 ‘너미’는 단독으로 쓰이거나 ‘고개’, ‘재’라는 말이 혼용되고 있는데 그 예를 보면

‘장네미, 장고개’(제천 봉양 왕암), ‘박달너미고개, 박달재’(제천 봉양 연박), ‘배너미재’(괴산 연풍), ‘곰네미골’(괴산 청천 화양), ‘매남, 매남고개, 매남재, 매남티’(단양 가곡 대대), ‘매나미재’(단양 대강 금곡), ‘고드너미, 고든고개’(단양 가곡 보발, 영춘 백자), ‘재너미재’(단양 단성 회산), ‘무내미, 문암(文岩), 수남’(보은 내북 용암), ‘회너미재(회월티)’(보은 내북 내속리), ‘무너미(群越峙)’(음성 평곡), ‘꽃네미’(금왕 백야), ‘오두너미고개(烏頭 - ), 거문머리고개’(제천 덕산 오기) 등으로 보아 ‘너미’가 ‘고개’와 같은 의미로 혼용되거나 한자로 ‘월(越)’로 표기되어 ‘넘다’의 의미임을 나타내고 있어 ‘너미’가 ‘고개’의 의미임을 확인할 수 있겠다.

그리고 제천 덕산의 ‘오두너미고개’는 ‘거문머리고개’에서 ‘거문’을 ‘검다‘로 보아 한자 ‘오(烏)’로 표기하고 ‘머리’는 ‘두(頭)’로 표기하였지만 ‘거문’의 어원은 ‘가마(큰)’이고 ‘머리’는 ‘마루’로 보아 ‘큰 산을 넘어가는 고개’라는 의미인 것이다.

그러면 ‘무너미’의 ‘무’는 무슨 의미일까? 서울의 ‘수유리‘는 ’무너미‘의 ‘무’를 ‘물(水)’로 보았고, 보은 내북에서도 ‘수남’으로 표기하여 ‘물’의 의미로 보았으며, 음성 평곡리의 ‘무너미’는 한자로 ‘군월티(群越峙)’로 표기하여 ‘무’를 ‘무리’, ‘뭇’의 의미로 보았고, 음성 원남 문암리는 ‘무너미’를 한자로 ‘문암(文岩)’으로 음만 표기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물이 고개를 넘어간다’는 것은 상상하기가 어려우므로 ‘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보다는 산(山)의 고유어로 ‘미, 뫼, 메, 매’ 등이 있는데 위의 예에서도 ‘매나미’라는 지명이 많은 것으로 보아 ‘무’의 어원을 ‘뫼(山)’로 보아 ‘뫼너미〉매너미〉무너미’의 변화 과정을 유추해볼 수 있으며 의미로 볼 때도 ‘산을 넘어가는 고개’라 해석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