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 준 전 음성교육지원청교육장

죽골, 대골, 황골

 

대소면에는 ‘죽골’이라는 마을이 있어서 내산리에 있는 ‘큰죽골’과 삼정리에 있는 ‘작은죽골’로 나뉘어지는데 ‘죽’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여 분명한 의미를 짐작하기가 어렵다. 더욱이 유사한 음으로 보아 ‘죽다’의 ‘죽’으로 보거나 아니면 ‘죽(粥)만 먹고 사는 마을’로 해석한다면 그 의미는 별로 좋은 이미지가 아닌 것이 확실하다. 따라서 ‘죽골’의 어원을 밝혀 주민들의 불명예를 시원하게 씻어 드리고자 한다.

‘죽골’이라는 지명을 다른 지역에서 찾아보면

‘죽골(댓골)’ - 경북 상주시 중동면 간상리

‘죽곡리(竹谷里)’ - 경기도 양주군 양구읍

‘죽골’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죽골, 작은죽골’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등이 있는데 ‘죽골’과 ‘댓골’이 혼용되고 있는 지역이 있는 것으로 보아 ‘죽골’은 ‘댓골’에서 왔다고 추측할 수가 있겠다.

음성 지역에서 ‘댓골’, ‘대골’이 쓰인 예를 보면

‘대골(예전에 큰 마을터) - 생극 오생

‘대골’(큰 마을) - 소이 중동, 소이 후미

등이 있고 괴산군 장연면 송덕리에는 ‘대밧골’, ‘대평’, ‘대평보’, ‘한들보’들이 함께 사용되고 있어서 ‘한들’이 한자로 ‘대평’으로 표기된 것을 볼 수 있고, 소이면 대장리의 ‘한들’은 ‘대평(大坪)’ 또는 ‘한평’으로도 불리고 있어, 지명에서 고유어 ‘한(크다)’이 주로 한자 ‘대(大)’로 바뀌었음을 알수가 있다.

그러면 지명에 ‘한’이 쓰인 예는 있는가?

가장 대표적인 예는 ‘한밭’이 ‘큰밭’이라는 의미이므로 한자로 ‘大田’이라 표기함으로써 오늘날의 ‘대전’이라는 지명이 만들어진 것이다.

음성지역에도 금왕읍 삼봉리의 ‘한삼(閑三), 한샘, 한삼고개, 한삼다리, 한삼리’라는 지명은 ‘한샘(큰샘)’이라는 지명에서 변화된 것이며, 금왕읍 신평리의 ‘황골’, ‘황곡’은 ‘한골(큰골)’에서 ’한‘이 ’황‘으로 변한 것이며, 생극면 임곡리의 ‘황고개’도 같은 예라 하겠다. 생극면 방축리의 ‘함박골’은 ‘한밭골(큰밭골)’에 어원을 두고 있다고 할 것이며 그밖에도 삼성면 천평리의 ‘한들’, ‘한샘’, 감곡면 단평리의 ‘한우물’, 소이면 중동리의 ‘한내’, ‘한천’ 등 ‘한’이 지명에서 두루 쓰였음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한골(황골)’이 ‘대골(댓골)’로 그리고 ‘대골(댓골)’의 ‘대’를 대나무로 생각하여 ‘죽골(竹谷)’로 변화되어간 과정이 여러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보아 ‘죽골’은 ‘큰마을’이라는 의미로 보는 것이 무난하다고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