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 준 전 음성교육장

 행치재
   
  세계 대통령 반기문 UN사무총장의 고향인 충북 음성군 원남면 상당1리 윗행치마을에는 반기문 기념관과 유엔기념공원이 있어 음성인의 자긍심을 심어주고 있다.
  ‘행치재’에는 행치재휴게소가 있고 길건너에는 한금령휴게소가 있어 외지 사람들에게는 ‘한금령’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는데 ‘한금령’이라는 이름은 한강과 금강의 분수령이 되는 곳이라 하여 예로부터 전해오는 이름이다.
  행치마을은 ‘행치재’에서 생겨난 마을이름인데 ‘행치재’는 한자로 ‘행치(杏峙)’로 표기하여 살구나무와의 연관을 짓고 ‘살구나무가 많은 고개’로 해석하고 있다.
  ‘행치’라는 말은 원래 ‘한티, 한치’에서 온 말로 볼 수가 있고, 음운 변이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원래 ‘한’은 ‘크다’라는 의미의 우리말로서 지명에서 ‘한’이 붙어 ‘크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지명의 예는 전국에서 많이 찾아볼 수가 있다.   
 

서울의 ‘한강’을 비롯하여 금왕읍 삼봉리의 ‘한삼(閑三), 한샘, 한삼고개, 한삼다리, 한삼리’, 삼성면 천평리의 ‘한들, 한샘’, 감곡면 단평리의 ‘한우물’, 소이면 중동리의 ‘한내, 한천’ 등에서 ‘한’은 모두 ‘크다’의 의미로 쓰였으며 ‘황골, 황곡’(금왕읍 신평리), ‘황고개’(생극면 임곡리), ‘함박골’(생극면 방축리) 등에서는 ‘한’이 ‘황’ 또는 ‘함’으로 음운 변이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한티, 한치’처럼 ‘큰 고개’라는 의미로 쓰인 지명도 서울 강남 대치동, 충남 당진 면천, 충남 예산 덕산, 충남 청양 대치, 대구 팔공산 등 널리 산재해 있는데 한결같이 한자로 ‘대치리(大峙里)’로 표기한 것으로 보아 ‘한’이 ‘크다’는 의미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으며 음성읍 동음리에도 ‘한티골’이라는 마을이 존재한다.
  특히 ‘한티’에 ‘고개’라는 의미의 ‘재’가 중복되어 ‘한치재’라고 불리는 지명이 경북 칠곡, 경북 영양, 경북 영덕, 경북 의성, 경북 군위, 경남 의령 등에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행치재’라는 지명에서 ‘한(크다)’의 흔적을 찾아볼 수가 없고 반드시 살구나무와 관련짓고 있다는 것은 ‘살구’라는 음이 존재하지 않았나 하는 의구심이 들게 한다. 그래서 전국의 지명을 조사해보니 서울의 ‘살곶이다리’를 비롯하여 ‘살고지, 살구지’라는 말이 붙은 지명을 많이 발견하게 되었다.
 

곶(串)이란 해안가의 돌출된 부분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육지의 지명에서도 지형의 형태가 돌출된 경우 붙여진다. 우리나라 황해안에 ‘곶’이 들어간 지명이 많다. ‘곶’지명 중에 비교적 사용빈도가 높은 지명은 갈곶(갈고지)·돌곶(돌고지)·배곶(배고지) 등이 있으며, 이 주에서 갈곶 또는 갈고지(갈구지)라 불리던 마을은 갈곶이(葛串里)·갈곶리(乫串里)·갈화리(葛花里) 등의 행정지명으로 그 흔적이 남아 있다.
 

따라서 반기문 생가 마을의 ‘행치재’는 ‘한티재’에 어원을 둔 ‘큰 고개’의 의미가 아니라 ‘살곶이고개’에서 ‘살구지고개’로 불리다 보니 ‘살구’를 한자로 ‘행(杏)’으로 표기하게 된 것으로   단양군 가곡면 대대리의 ‘행치(杏峙)’를 ‘살구재’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