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재 영 전 청주고 교장, 칼럼니스트

 
 

최근 들어 학교마다 분실물센터에는 학생들이 분실한 채 찾아가지 않는 물건들이 쌓여 골머리를 앓고 있다. 어느 상점에 초등학교 학생이 10만원권 수표를 갖고 물건을 사러오자 주인이 학생 어머니에게 전화를 했다, 학생 어머니는 주인에게 역정을 내며 “아이가 달라는 대로 주면 되지 왜? 그렇게 말이 많아”라고 투명스럽게 대답했다.

“가정은 최초의 학교”라 했고, 페스탈로치는 “가정은 도덕의 학교”라고 하여 가정 교육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우리는 태어나면서 부모형제와 생활하며 사회생활을 익히고 사회화(社會化)되어 간다. 부모님의 모습과 행동을 보고 자녀들은 따라 생활하며 예의범절을 배우고 익힌다, 그래서 우리는 가풍(家風)을 중요시한다.

채근담(菜根潭)에 거가유이어(居家有二語), ‘집안을 다스림에 있어서 두 가지 말이 있으니‘ 왈유서즉정평(曰惟恕則정平), ’용서하면 불만이 없고‘ 유검즉용족(惟儉則用足), ’오직 검소하면 넉넉히 쓸 수 있다‘.고 하여 가족들이 서로 역지사지(易地思之)하여 서로를 이해하고 수입에 맞춰 근검 절제하는 생활의 지혜를 갖노라면 신용불량자가 되어 부채에 시달리다가 목숨을 버리는 비극에 까지는 이르지 앉게 되고 화목한 가운데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다

우리는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속에 살다보니 물건 귀한 줄 모르고 학생들의 생활을 보면 쓸만한 물건도 버리고 잃어버려도 찾지 않는 모습을 쉽게 발견하게 된다.

흔히들 독일에 다녀오면 검소하게 생활하는 독일인의 국민성을 이야기한다. 음식점에서 식사를 하다보면 남기지 않고 깨끗하게 먹어치우는 식생활을 들려주곤 한다.

노자(老子)는 도덕경(道德經)에서 자승자강(自勝者强), “스스로 이기는 것이 가장 강하다”고 했다. 어릴 때부터 가정이나 학교에서 근면 검소하고 절제(節制)하는 생활 습관을 길러주도록 노력해야 한다. 부모나 교사는 청소년들의 본(本)이며 동일시 대상(同一視 對象)이다. 일확청금을 노리며 배금주의 사상에 젖어 살아가는 부모의 모습을 보고 자녀들이 무엇을 배우겠는가? 스위스의 법학자요 철학자였던 칼힐티는 “인생에 가장 행복한 시간은 일에 몰두하고 있을 때”라고 했다.

내가 단재교육원에 연구사로 근무하던 25년 전에 어느 간부학생이 수련소감문에서 “나는 이곳에 와서 처음으로 이불을 정리 정돈해 봤다”고 썼다. 자녀가 사랑스러울수록 자기 방은 자기가 정리정돈하고 청소하도록 시키고 어려운 일이나 유혹도 참고 견디는 생활습관을 길러주고 땀흘려 일하고 공부하는 속에 보람이 있음을 일깨워주어야겠다.

 채근담(菜根潭)에 거가유이어(居家有二語), ‘집안을 다스림에 있어서 두 가지 말이 있으니‘ 왈유서즉정평(曰惟恕則정平), ’용서하면 불만이 없고‘ 유검즉용족(惟儉則用足), ’오직 검소하면 넉넉히 쓸 수 있다‘.고 하여 가족들이 서로 역지사지(易地思之)하여 서로를 이해하고 수입에 맞춰 근검 절제하는 생활의 지혜를 갖노라면 신용불량자가 되어 부채에 시달리다가 목숨을 버리는 비극에 까지는 이르지 앉게 되고 화목한 가운데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다.

역경(易經)에 가도정 천하정의(家道正 天下定矣), 가정의 도덕이 바로 서고 잘 다스려져야 천하가 안정 된다’고 했고, 이탈리아 사람들은 ‘나의 집이여, 너는 아무리 작아도 나의 궁전’이라고 했으며, 독일의 시성(詩聖)인 괴테는 ‘반성과 격언’에서 왕이건 백성이건 자기 가정에서 행복을 발견하는 사람이 가장 행복하다‘고하여 가정의 소중함을 강조하고 있다. 행복은 무지개같이 아름답기만 한 것도 아니다.

괴테는 ’행복은 언제나 네 곁에 있다‘고 했고 제롤드는? ’행복이란 우리집 화롯가에서 성장한다. 그것은 남의 집 뜰에서 따와서는 안 된다‘고 했다. 채근담(菜根譚)의 부자자효(父慈字孝)라는 말과 같이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고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하는 가운데 서로를 감싸고 이해하며 화목하게 생활을 하노라면 그곳에 행복이 있지 않을까? ’희망만 있으면 행복의 싹은 그곳에서 움튼다‘는 괴테의 말을 떠올리며 행복의 성(城)인 가정을 가꾸어 가기 바란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