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 준 전 음성교육장

 유포리(柳浦里)와 버드나무

  금왕읍의 유포리는 본래 충주군 금목동면(金目洞面) 지역으로 앞 냇가에 버드나무가 많으므로 ‘버들개’ 한자로 ‘유포리(柳浦里)라 표기하였다고 한다.

 이와같이 버드나무와 관련된 지명의 예를 들어보면 생극면 생리의 ‘버들골(柳村)’, 괴산군 소수면 수리의 ‘버드쟁이’, 괴산군 연풍면 유하리의 ‘버들미(柳山)’, 등이 있다. 또한 버드나무는 주로 냇가에 많이 있기에 전국에는「버드내」란 이름의 내나 마을이 무척 많은데 한결같이「버드나무」와 관련짓고 있다.

 충남 대전시 중구와 경기도 평택시의 유천동(柳川洞), 전북 부안군 보안면, 전남 신안군 자은면, 경기도 수원시 세류동, 경남 사천군 사남면의 유천리(柳川里), 충남 서산군 고북면의 양천리(楊川里), 경북 금릉군 부항면의 유촌리(柳村里), 경북 상주군 낙동면의 ‘유곡리(柳谷里)’ 등이 모두「버드내」란 토박이 땅이름이 바탕이 된 지명이다.

 위와 같은 지명의 예에서 음의 유사성으로 보아 「버드내」를 버드나무가 많아 붙은 이름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 이것은 사실과 다르다. 물론 이 내에 버드나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단순히 글자에 얽매여 이름풀이를 한데서 나온 결과일 뿐이다.  특히 아주 특별하거나 특이한 나무를 제외하고는 어느 지역에나 흔하게 있는 나무이름으로 지명을 구분지어 부른다는 것은 지명으로서의 유연성이 매우 부족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면 지명에서 ‘버들’은 어디에서 온 말일까? 「버드내」라는 지명은 ‘내가 들쪽으로 길게 뻗었다’는 뜻에서 나온 이름이다. 즉「벋은내」가 변하여 정착된 이름이「버드내」로서 ‘벋은’의 의미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 남아 있다.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의 ‘버드내’는 냇줄기가 길게 벋었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전해지며 괴산군 문광면 유평리의 ‘버들’이 한자로 ‘유평(柳坪)’이라 표기한 것은 ‘버들’의 원이름이 ‘벋은들’, ‘벋들’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버드내」를 「벋은내」의 뜻으로 보지 않고 「벌의 내」란 뜻으로 보는 이도 많다. 왜냐하면「벌」의 옛말이「벋」이기 때문에 ‘벋+내 = 벋으내 > 버드내’ 로 유추할 수 있으며 「벋으내」는「벋(벌)의 내」의 뜻으로도 풀 수 있기 때문에 「버드내」가 「벌 가운데 흐르는 내」라는 주장도 상당한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지명 명명의 일반적 형식으로 보아 ‘벋은내’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어떻든 「버드내」가 「버드나무」와는 별 관계가 없는 것만은 거의 확실하다.

 또한 금왕읍에는 유촌리(柳村里)가 있는데 그 지역에 가래버들(먹버들)이 많아 가래들이라 부르다가 유촌(柳村)으로 표기하였다고 하나 이는 ‘가래들’, 또는 ‘가래실’이 ‘갈라진 골짜기에 있는 들이나 마을’을 의미하는 지명으로 전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억지로 연관지은 것으로 생각되며 ‘가래들’과는 관련이 없이 이 지역 어디엔가 ‘버들골’이 존재했으리라고 짐작이 된다. ‘버들골’의 존재를 찾아내는 것은 주민들의 몫으로 남겨놓아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