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 준 전 음성교육장

 까치섬(鵲島)과 바다미(海山)

 

 음성읍 평곡리에 있는 음성 평야에 섬처럼 둥그렇게 솟아있는 작은 언덕이 있다. 이곳에는 소나무가 많아 사시사철 까마귀와 까치가 모여들어 사람들의 눈길을 끌고 있으므로 주민들은 이곳을 까치섬이라 부르고 한자로 ‘작도(鵲島)’라 표기하였다.

 또한 까치섬 앞의 넓은 들을 ‘바다미들’이라 부르는데 글을 배운 양반들과 관리들이 한자로 ‘해산(海山)’으로 표기하였다. 주민들은 ‘해산(海山)’을 음성의 산악지대에 보기드믄 넓은 들이므로 ‘바다처럼 넓은 들’이라고 지명의 의미를 부여해 왔다.

 까치섬 주변의 음성천 냇가에는 멱바위라는 바위가 있는데 이곳에서 바다 미역을 채취했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그런데 이 세가지 지명이 모두 바다와 관련이 있어 다음과 같은 웃지 못할 일화가 있다.

 조선 초기에 있었던 일이라고 한다. 음성현은 산악지대였기에 조정으로 진상하는 물품은 대대로 약재였다. 어느 해에 진상품을 받던 조정의 관리가 음성 지역의 고을명을 살펴보고는 ‘음성에 ‘해산(海山)’과 ‘작도(鵲島)’가 있어 해변의 고을이 틀림없으니 내년부터 진상 품목에 굴비를 추가하라는 지시를 받게 되었다. 다음 해에 한약재만 진상하려던 현리는 조정 관리의 호된 꾸지람을 듣고는 할 수없이 서해안으로 사람을 보내어 굴비를 사다가 진상을 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이 일이 소문이 나자 사람들은 조정 관리들의 어리석음과 함께 충청도 사람들의 온순함과 어리석음을 함께 비웃게 되었다.

 이러한 터무니없는 굴비 진상은 그 후에도 계속되었는데 진상품을 총괄하는 관리가 진상물품을 점고하다가 충청도 음성현에서 굴비가 들어왔음을 보고 담당 관리들을 크게 꾸짖어 무식함을 책하고 당장 중지시키도록 하였다. 이로써 음성현의 굴비 진상 사건은 3년만에 진상 물목에서 삭제되었던 것이다.

 그러면 이 지명들은 왜 바다와 관련된 한자로 표기가 되었을까?

 우선 ‘까치섬’은 넓은 들에 솟아 있어 섬이라고 한 것은 맞지만 까치가 많아서 까치섬이 아니라 설날 전날인 ‘작은 설날’을 ‘까치 설날’이라고 하는 것처럼 우리 옛말에 ‘작다‘는 의미의 ‘까치’라는 말이 쓰인 것으로 ’작은 섬‘이라는 의미이다.

‘바다미들’의 ‘바다미’는 산(山을) 뜻하는 고유어 ‘받’과 ‘뫼(山)’가 합쳐진 말로 ‘바다미들’은 ‘산 밑의 너른 들판’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멱바위’는 개울가에 있는 바위로서 멱을 감기 위해 옷도 벗어 놓고 멱을 감다가 쉬기도 하는 멱을 감는 바위라 하던 것이 바다와 연관을 짓다보니 미역을 따던 곳이라는 엉뚱한 의미를 부여하게 된 것이다.

 좀 늦은 감이 있지만 음성을 해안가의 도시로 여기게 한 이 세 지명의 어원을 밝혔으니 이제 억울함을 풀기 위해 3년간의 굴비 진상품을 변상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해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