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 준 전 음성교육장

도마재

 원남면 삼룡리의 으낭나무골에서 맹동면 통동리로 가는 고개를 ‘도마재’ 또는 ‘도마티(倒馬峙)’라고 부른다. 옛날에 이 고개가 매우 험하여 말이 넘어가다가 구르는 바람에 ‘말둥구리’라 했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지명에서 ‘마’자는 주로 ‘말(馬)‘과 연관지어 전설이 만들어지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도마’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그래서 ‘도마’의 진정한 어원을 찾기 위해서는 전국의 지명에서 ‘도마’라는 말이 쓰인 예를 비교 분석해보아야 할 것이다.

충북 영동군 용화면 조동리에 도마령이 있는데 도마령은 영동군 상촌에서 전북 무주로 넘어가는 높은 고갯길이다. 도마령 고갯마루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나무계단을 올라가면 상용정이 라는 정자가 있으며 도마령 고갯마루에 해발 800미터 표지판이 서 있다. 여기에서 길이 고개 양쪽으로 나누어져 꾸불꾸불 돌아가는 모습이 장관을 이룬다.

도마령은 '말을 키우던 마을', '혹은 칼 찬 장수가 말을 타고 넘던 고개'라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지며 도마령을 중심으로 주변에 천만산, 각호산, 민주지산 등이 있다. 이들 모두 1000미터 안팎의 높이다. 그 사이를 비집고 산을 넘는 길이 바로 ‘도마령’이다.

대전광역시 서구에 갈마동이 있는데 목마른 말이 물을 마시는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의 명당이라 하여 갈마울, 갈마리라 하였으며, 갈마동이란 지명도 이것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처음에는 목마를 갈(渴)자를 썼을 것이나, 후에 칡 갈(葛)자로 변하였다.

인근에 도마동이 있는데 산 모양이 도마뱀처럼 생겼다 하여 도마달 또는 마마다리로 불렀다고 전해진다.

여기에서 ‘도마’라는 지명의 어원을 찾을 수 있는 귀중한 힌트를 얻을 수가 있다. 즉 ‘갈마’라는 지명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칼의 고어가 ‘갈’이므로 ‘도마(刀馬)’로 쓰다 보니 얼마간 ‘갈마’와 혼용하게 되고 인구가 늘어 지역이 분리되면서 ‘갈마’와 ‘도마’가 서로 지역을 나누어 구분짓는 말이 되었을 것으로 짐작해 볼 수가 있다.

강원도 철원군의 ‘갈말읍’도 ‘갈말’표기가 남아있어 ‘도마’라는 한자 표기 이전에 ‘갈말, 갈마’라는 말이 많이 쓰여 왔음을 짐작할 수가 있다.

특히 지명에서 '갈'은 산줄기가 갈라지는 곳, 강이나 큰 길이 나누어지는 곳 등에 붙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갈에 '칡 갈(葛)'자 또는 '목마를 갈(渴)'자 등을 음차(音借)한 경우도 많이 보인다.

그런데 ‘갈’ 뒤에 붙은 ‘말’ ‘마’는 어디에서 온 말일까?

지금도 쓰이고 있는 말 중에 가르마란 말이 있다. 가르마란 이마에서 정수리까지의 머리카락을 양쪽으로 갈랐을 때 생기는 금을 가리키는데. 많은 사람들이 ‘가르마’를 경상도 방언인 ‘가리마’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가르다’에서 파생한 것으로, ‘가르마’가 올바른 표기인 것이다.

충북 영동 상촌의 도마령에서 양쪽으로 갈라진 길을 내려다 보면 머리를 가르는 가르마처럼 우거진 숲을 가르는 가르마의 모습이라는 생각을 쉽게 할 수가 있다. 우리 조상들이 이 고개를 바라보며 가르마같다는 생각에 ‘가르마 고개’라고 부르던 것이 ‘갈마재’로 바뀌고 한자로 ‘도마령’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