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 준 전 음성교육장

거문거리

  음성읍 원남면 삼생리에 가면 삼싱이 서남쪽에 거문거리라는 마을이 있는데 마을 입구의 큰 길가에 커다란 바위에 마을이름을 새겨 놓았다.

마을 뒷산의 모양이 거문고처럼 생겼다하여 한자로 금리(琴里)로 표기하였다고 전해지는데 산 모양이 거문고처럼 생겼다는 것은 믿기 어려운 것이고 ‘거문’이라는 말의 의미를 모르니 글자 그대로 거문고의 의미를 억지로 가져다 붙인 것에 불과할 것이다.

그러면 ‘거문’이란 무슨 의미일까? 우리 조상들이 무슨 생각을 하면서 그리고 어떤 의미를 나타내기 위하여 ‘거문거리’라 이름 지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후손으로서의 도리이며 이곳 주민들로서는 매우 궁금하기도 할 것이다.

‘거문’이라는 말은 전국의 지명에서 너무나 많이 쓰이고 있으므로 그 의미가 아주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거문바위(琴岩里)- 청주시 북이면 금암리

거문골(금곡) - 제천 백운 운학

등은 ‘거문’을 ‘거문고’로 표기하였고

거무실(玄谷) - 단양 적성 현곡

거먹바위 - 보은 내북 노티리

가막재, 가막현 - 보은 수한 소계, 제천 봉양 명암

거문골(어두운 골짜기) - 소이 후미

검은바위(금바우, 儉岩) - 제천 금성 명지, 제천 금성 양화

등은 ‘거문’을 ‘검은 색’으로 표기하였으며 그밖에도

감실 - 영주시 부석면 감곡리

감악산 - 제천 봉양 명암

검부리 - 원남 문암

곰바위(웅암) - 제천 금성 성내

등은 ‘거문’이 ‘검’, ‘금’ ‘감’으로 표기되는데 이들의 어원은 ‘크다’는 의미의 고어인 ‘가마’로서 지금도 ‘가마솥’이라는 말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가마리(큰마을) - 청원군 남이면

가마뜰(여주군 점동면 흔암리 - 큰 들

가무재고개, 거현(巨峴) - 보은 수한 거현리

가마골(부곡) - 원남 하로

등에서 ‘가마’가 ‘크다’는 의미였다는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음성군 감곡의 ‘가미실’이라는 큰 마을은 ‘개미실’로도 불리다가 한자로 ‘감미곡’으로 표기되고 오늘날의 ‘감곡면’이라는 지명이 생기게 된 것이다.

그리고 6.25 동란의 위급한 상황에서 우리 국군의 첫 승전지로 기록되는 음성의 ‘감우재’도 ‘甘雨재’로 표기하고 있으나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가무재’, 가마재‘가 그 뿌리이며 ’큰 고개‘라는 의미인 것이다. 지금은 도로가 개설되어 고개라고 하기가 어렵지만 옛날에는 호랑이가 출몰하는 험한 고개였던 것이니 이곳을 지날 때마다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곤 한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