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종 렬 전 음성교육장

 
 
미국의 록펠러는 33세에 백만장자가 되었으며 41세에 미국의 최대 부자가 되었고, 53세에 세계 최대 갑부가 되었지만 행복하지 않았다. 55세에 그는 불치병으로 1년 이상 살지 못산다는 사형선고를 받았다. 그리고 최후 검진을 위해 휠체어를 타고 갈 때 병원로비에 실린 액자의 글이 눈에 들어왔다.

‘주는 자가 받는 자보다 복이 있다.’

록펠러는 그 글을 보는 순간 마음속에 전율이 생기고 눈물이 났다. 선한 기운이 온몸을 감싸는 가운데 그는 눈을 지그시 감고 생각에 잠겼다.

조금 후 시끄러운 소리에 정신을 차리게 되었는데 입원비 문제로 다투는 소리였다. 병원 측은 병원비가 없어 입원이 안 된다고 하고, 환자 어머니는 입원시켜 달라고 울면서 사정을 하고 있었다. 록펠러는 곧 비서를 시켜 병원비를 지불하고 누가 지불했는지 모르게 했다.

얼마 후 은밀히 도운 소녀가 기적적으로 회복이 되자 그 모습을 조용히 지켜보던 록펠러는 얼마나 기뻤던지 나중에 자서전에서 그 순간을 이렇게 표현했다.

‘저는 살면서 이렇게 행복한 삶이 있었는지 몰랐습니다.’

그리고 그때 그는 베풀고 나눔의 삶을 남에게 나누어야겠다고 굳게 다짐했다. 그런데 그는 그 후 신기하게 그의 사형선고란 불치병도 깨끗하게 사라졌다. 그래서 그는 98세까지 살며 선한 일에 힘썼다. 그리고 그의 회고록에 이렇게 적혀 있다.

'인생 전반기 55년은 쫒기며 살았지만, 후반기 43년은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라고….

어느 신문사에서 창간기념으로 “대한민국 1% 부자는 행복할까?”를 조사했다. 그 결과,행복은 반드시 소득과 동일시되지 않았다. 한 달 가구소득이1,000만원 이상인 이들의 행복지수는 3.37로, 300만원대(제5계층)인 집단(3.25)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행복지수가 높은 계층에서 기부금 참여율과 자원봉사 참여율이 높게 나왔지만, 1% 계층은 돈은 많지만 나눔과 자원봉사 참여에 인색했다. 나누지 않은 사람은 그만큼 행복도도 떨어지고 행복은 소득에 정비례하지 않았다.

금붕어를 관찰하던 생물학자가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한 마리의 금붕어가 병들어 비틀거리자 다른 한 마리의 금붕어가 끊임없이 먹이를 물어다 죽어가는 동료 금붕어의 입에 넣어 주며 소생시키는 사실을 발견해 냈던 것이다. 미물도 이렇게 서로 돕고 협력하며 그들의 삶을 함께 꾸며 가는데 우리도 이제는 지극히 작은 것일지라도 서로 나누면서 인생을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터득해야 하겠다.

말 못하는 벌들도 우리 사람들에게 몸에 좋은 양질의 꿀을 제공해 주고 움직이지 못하는 나무도 그 뜨거운 땡볕을 이기고 더위에 목말라 가며 보기 좋고 영양 풍부한 과일을 만들어 우리들에게 제공해 주고 있는데 우리는 더불어 사는 이웃들에게 과연 무엇을 되돌려 주며 나누고 있는지 한번 쯤 되돌아 볼 때가 아닌가 생각해 본다.

세상은 많이 가진 자가 있음으로 풍요롭게 되는 것이 결코 아니라 베푸는 자가 있음으로 넉넉하게 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