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석문(본보 편집주간)

음성읍 시가지를 흐르는 음성천에 차집관로가 설치돼 음성하수종말처리장과 연계하는 시설을 갖추게 되면서 악취로 코를 막고 다녀야 할 정도의 음성천이 발을 담그고 싶을 정도의 맑은 물로 정화되는 것에 크게 고무된적이 있었다.

더욱이 상가와 주택가가 밀집한 음성천에서 물고기 서식이 어려운 것으로 여겨졌으나 물이 맑아지면서 사라졌던 고기마저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돼 음성천변 도로와 수정교와 설성교, 음성 삼보아파트에서 음성여성회관 철길을 걷게 되면 음성천에서 노니는 물고기들로 인해 시선을 빼앗기곤 했다.

하루의 분주한 일과로 숨막히게 쫓기는 일정속에는 각종 스트레스도 많이 작용하고 있으나 음성천에서 노니는 물고기를 바라보면 괜시리 마음이 편안해지는 안도감을 찾을수 있다.

분주한 일정속에서 여유를 찾게되고 정서적 안정을 취하는 가운데 삶을 유지할수 있다는 것이 새삼 큰 즐거움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을 뒤늦게 깨달은 것이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음성 삼보아파트 후문에서 음성여성회관으로 이어지는 철길위에서 음성천을 내려다보면 고기반 물반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물고기가 다량 서식했으나 어찌된 일인지 올해는 물고기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줄어들었다.

음성사랑 나눔공동체 하천 돌보기 모임에서 분석한 결과 이처럼 물고기가 줄어든 것이 물고기 서식하기 좋은 자연적 여건이 인위적으로 파괴됐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다름아닌 음성여성회관앞 음성천 저수조 호환블럭 공사로 인해 자연스런 하천 생태계의 여건을 훼손해 물고기가 서식하기에는 부적절한 입지를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하기야 지난해까지만 해도 음성읍 해덕종합상사 앞 음성천에서 낚시를 즐기는 강태공까지 등장해 음성천변을 거니는 이들에게 마음의 풍요로움을 한 폭의 수채화처럼 선사해줬다.

그러나 강태공들이 손맛을 느낄 정도의 물고기가 살기위해서는 하천에 부들 등 제반여건이 그대로 존속되어야 하는데 그곳도 시멘트 공사로 부들이 사라지면서 물고기마저 사라져 버렸다.

아주 자연스런 이치인데도 그것을 깨닫지 못하는데서 착오는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생태계가 유지할 수 있는 여건은 자연스런 입장을 유지하는 것이다.

음성천 저수조 호환블럭조 공사도 돌망태등을 조성하거나 석축공사로 하여 물고기들이 숨을 공간을 만들었어야 하는데 그런 면을 등한시 한 채 시각적인 측면을 더 중요시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빚어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모든 생물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
생태계는 주변의 무생물적 요소, 생물적 요소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 물질이나 에너지를 주고 받으면서 종족을 유지시키고 변화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숨을 쉴수 있게 하는 공기, 양분을 공급하는 흙, 체온을 유지시키는 태양열, 이산화 탄소, 세균,포식자등 어떤 생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에 밀접한 관계를 맺어야 가능하다. 즉 자연계에서 생물군집은 생물 상호간의 관계는 물론 비생물적인 환경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환경과 한 덩어리가 되어 그 속에서 물질의 순환과 에너지의 이동이 일어나는 하나의 계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생태계를 구성하는 인자는 무생물과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이다.
무생물이란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비생물적 요소로서 무기물, 유기물, 물리적 환경을 말한다. 물, 온도, 햇빛, 이산화탄소, 토양, 산소, 탄산염, 질산염, 인산염 등이다.

생산자는 일반적으로 무기물을 재료로 유기물을 합성해 내는 녹색실물을 일컫는다. 식물성 플랑크톤, 수생식물, 육상식물 등 엽록소를 지니고 있는 식물로서 광합성을 통하여 녹말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지방, 단백질, 핵산, 등의 유기물을 스스로 만들어 낸다.

생태계의 에너지 근원은 태양이고, 이 태양 에너지는 광합성을 통해 생산자에 의해 최초로 사용된다. 그 후, 먹이사슬에 따라 에너지는 이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에너지는 분해자로 가서 이용된다.즉, 먹히는 관계에 따라 흐르게 된다.

모든 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생태계를 유지하는 설계와 제도를 통해 자연이 살아있는 체제를 감안해 내는 혜안이 필요할 때이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