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영섭 인성교육칼럼니스트

 
 

습관(習慣)이란 오랫동안 되풀이하여 몸에 익은 채로 굳어진 개인적 행동을 말한다. 이 습관의 습(習)자의 의미는 어린 새가 백번 날개를 퍼득이어야만 날수 있다는 의미로 ‘되풀이 하여 익힌다.’라는 뜻이고 관(慣)자의 의미는 마음 심(心)과 꿸 관(貫)이 합쳐진 말로 ‘마음이 하나로 꿰어진 것 같이 일관성있게 하는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습관에 대해서는 동서고금의 많은 철학자들이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에 의해 판명되는 존재다.

따라서 탁월함은 단일 행동이 아닌 습관에서 온다.’고 역설했다. 동양의 다수의 경전에서도 습관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서경에서 습여성성(習與性成), 즉 ‘습관이 오래되면 천성이 된다.’고 했다. 장자(莊子)는 습관의 부정적인 측면을 그의 저서에서 습관적으로 저지르는 8가지 과오(過誤)를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첫째, 자기가 할 일이 아닌데 덤비는 것을 ‘주착(做錯)’이라한다. 둘째, 상대방이 청하지도 않았는데 의견을 말하는 것은 ‘망령(妄靈)’이라 한다. 셋째, 남의 비위를 맞추려고 말하는 것을 ‘아첨(阿諂)’이라고 한다. 넷째, 시비를 가리지 않고 마구 말 하는 것을 ‘푼수(分數)’라고 한다. 다섯째, 남의 단점을 말하기를 좋아하는 것을 ‘참소(讒訴)’라고 한다. 여섯째, 남의 관계를 갈라놓는 것을 ‘이간(離間)질’이라 한다. 일곱째, 나쁜 짓을 칭찬하여 사람을 타락시킴을 ‘간특(奸慝)’하다고 한다. 끝으로 여덟 번째,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비위를 맞춰 상대방의 속셈을 뽑아보는 것을 ‘음흉(陰凶)’하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논어에도 공자가 습관에 대해 ‘성상근야 습상원야(性相近也 習相遠也)’ 즉 ‘사람의 본성은 서로 비슷하나 습관에 의해 멀어진다.’는 것이다. 공자의 이 말은 타고나기를 나쁘게 태어나서 어쩔 수 없다고 자포자기 한 사람에게 큰 가르침이 되는 말이다. 사람은 누구나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태어났지만 살아가면서 행하는 습관으로 인해 차이가 벌어지므로 변명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습관에 대한 성인들의 통찰을 보면, 사람은 스스로 만든 습관에 의해 좌우되는 존재라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또한 조직을 이끄는 지도자들이 왜 좋은 습관을 몸에 익혀야 하는지도 잘 알려준다. 인생의 99%는 습관의 힘이다. 우리의 삶은 습관의 연속일 뿐이다. 삶은 습관의 연속이다. 습관 하나하나는 별개가 아닐 수 있지만 하나하나의 습관이 쌓이면 전반적인 건강, 안정, 성공, 행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세살 버릇 여든 간다.’는 속담이 있다.

어린 시절부터 습관의 중요성을 잘 말해주는 말이다. 잘못된 습관은 하루아침에 고쳐지지 않는다. 심리학자 ‘윌리암제임스’의 습관의 중요성의 정곡을 찌르는 이 명언을 곱씹어 좋은 습관을 기르자. 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습관이 바뀌며, 습관이 바뀌면 인격이 바뀌고, 인격이 바뀌면 운명까지도 바뀐다.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