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민 회장<감곡면 청년회의소>

장례문화가 시대에 따라 변하고 있다.
비좁은 땅에 묘지가 늘어나다 보니 전 국토가 공동 묘지화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사방을 둘러보면 개발할 만한 땅에는 거의 묘지가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 장례인 매장에서 이제는 화장을 하고 납골당을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 거부감도 줄어들고 정부시책도 납골당으로 권고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 여기저기서 납골당을 세우려고 붐이 일고 지역 주민들과의 마찰도 심각하게 일어난다.
개인적인 소규모 납골당 설치에 대하여 왈가왈부할 문제는 아니지만 상업성을 가지고 대규모로 납골당을 설치하려는 데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대규모 납골당이 들어서면은 주변지역은 토지매매가 중지되고 관념적으로 두려움과 꺼림직한 느낌을 가지고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대규모 납골당 근처에 누가 전원 주택을 지을 것이며 혹여 밤늦은 귀가나 일을 꺼려하는 것이 우리의 정서 문화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규모 납골당이 들어설 경우 지역의 이미지 가 흐려져 발전의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실례로 벽제 하면 당장 떠오르는 것이 화장터이고 망우리 하면 공동묘지를 연상해서 지역에 납골당 이름이 붙여지면 이름만 가지고도 공연한 불이익을 받는다는 관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지역 주민의 입장에서 대규모 납골당이 들어서면 상대적 불이익이 클 수밖에 없다. 또한 타지역에 허가되는 납골당의 상당수가 이런 문제로 지역주민에게 인센티브가 주어지거나 제의를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현실인데도 감곡 납골당의 경우 어느 하나도 지역 주민의 입장이 고려됨이 없이 허가를 내줘 민원이 야기되고 있다.

더욱이 납골당의 규모가 4만2천856기라는 전국 최대라는 데서 지역주민들의 우려에 공감이 간다.
납골당 설치에 있어서 지역주민이 납득할 수 있는 설득으로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행정 당국도 대규모 납골당을 허가 신청을 심사할 때 이런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인허가를 신중하게 판단하여 한다.

<독자투고>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