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염을 한번 앓게되면 아예 치료가 블가능한 것으로 생각들을 한다.

퇴행성 관절염은 노화 현상임과 동시에 잘못된 괸리로 인해서도 생기는 병이다.

즉 단기간에 완치되지는 않지만 꾸준한 치료, 운동과 함께 생활습관을 관리한다면 호전될 수 있다.

치료와 운동을 병행하지 않고 방치하면 심한 경우 뼈의 변형이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관절염 환자에 운동이 좋지 않다는 말이 있는데, 물론 지나친 운동은 관절에 무리를 준다.

그러나 운동 부족은 오히려 관절 주위 근육과 뼈,인대,힘줄을 약화시키고 비만을 초래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증상이 악화되면 다시 운동하기가 힘들어 근육이 약해져 악순환의 고리를 밟게 된다.

걷기나 자전거타기,수영,물속에서 걷기와 같은 운동은 적당한 자극을 가해 연골과 뼈에 영양을 공급하는 대사를 활발히 만든다.

따라서 관절염 환자라도 통증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 3-4회,30분 정도 꾸준히 운동하는 게 좋다.

관절 구조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관절 부위 통증을 모두 관절염으로 여기는 경향도 있다.

하지만 무리한 관절 사용으로 인한 일시적 통증인 경우도 있으며 관절이 아닌 다른 부위에 생긴 질병일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관절염을 무릎에만 생기는 질환으로 오인하기도 한다.

이는 무릎이 사용 빈도나 받는 하중이 많기 때문인 것이며 실제로는 어깨,엉덩이,손가락,발가락,턱 등 약 200여 부위 관절에 모두 발병할 수 있다.

관절 마디에서 나는 ‘뚝뚝‘소리에 관절염이 아닌가 예민해지기도 한다.

이는 연골과 연골 사이의 윤활액이 부족해 서로 부딪혀 소리가 날 수 있고,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힘줄이나 관절막이 뼈의 돌출된 부분과 부딪혀서 소리가 날 수도 있는 현상으로,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통증이 동반된 소리는 원인 검사를 통해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여성 관절염 환자의 경우에는 임신을 하면 관절염이 심해질 것이라 생각하기도 한다.

이는 체중 증가로 무릎 관절이 압박을 받기 때문이거나 또는 임신 후반기 자연분만을 위해 분비되는 관절 이완 물질이 손가락,팔꿈치 등의 관절 부위도 함께 이완시켜 아픈 것일 수 있어 적절한 관리로 개선이 가능하다.

특별히 ‘자석,구리 팔찌’는 혈액순환과 관절염에 이롭다는 말은 심리적으로 위안을 줄뿐 전혀 의학적 근거가 없다.

<한라외과 남기천원장의 의학상식>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