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영 섭 인성교육칼럼니스트

 
 

지난 주말 모처럼 가족 넷이서 외식을 하기로 했다. 아내에게 물었다. 어디로 갈까? 아내는 모처럼 딸들과 하는 외식이니 딸들에게 맡기자고 했다. 그러나 30대인 큰딸은 외지에서 직장생활하고 있는 동생에게 또 미루었다. 20대 후반인 막내딸은 또 결정을 못하고 나에게 맡겨 결국 내가 좋아하는 횟집으로 가게 되었다.

점심 메뉴는 어느 것으로 할지, 갑작스럽게 생긴 친구와의 만남에 나가야 할지와 같은 이유로 하루에 여러 번 고민하는 이런 사람들을 일컬어 ‘결정장애족’이라고 한다.

요즈음 많은 젊은이들이 식사메뉴나 옷 스타일 등 사소한 것부터 대학의 전공이나 직업까지 결정을 대신해 달라며 SNS에 글을 자주 올린다고 한다.

심지어는 무언가를 결정 할 때 다른 사람의 조언을 연결해 주는 어플도 생겼다고 한다. 한 신생벤처기업이 결정장애의 해결을 목표로 만들어 성업중이란다. 결정장애란 어떠한 선택의 갈림길에서 어느 한 쪽을 결정하지 못하고 괴로워하는 심리상태를 일컫는 신조어이다.

선택의 폭이 다양하고 넓어진 탓에 간단한 것조차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선택에 스트레스를 느끼는 심리를 말한다. 사소한 것이라도 한 번에 결정하지 못하고 미루거나 다른 사람에게 기대는 현상을 말한다.

죽느냐 사느냐 이것이 문제로다.’라고 말한 셰익스피어의 명작 햄릿의 이름을 따 햄릿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젊은 세대의 결정장애가 사소한 신변잡기를 넘어 인생의 중요한 문제를 결정 할 때도 나타나니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왜 이런 현상이 만연 할까? 무한 자식 과잉사랑을 쏟아 붓는 엄마들의 스케줄에 따라 키워진 아이들의 경우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능력을 상실하기 쉽다.

이런 엄마들은 실패를 줄이기 위해서라고 말하지만 실패를 두려워하고 자율성을 잃어버린 엄친아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결정장애’나 ‘햄릿증후군’은 정식 병명은 아니다. 선택의 기회가 많아진 현대사회가 낳은 새로운 정신적 문제라는 것이다. 또 최고의 결정은 결정의 순간에 달려 있다는 착각이다. 선택에만 집착하다 보면 정작 자신이 무엇 때문에 선택을 하려고 했는지 목적은 잃어버리게 된다는 것이다. 완벽한 선택이란 이 세상에 없다. 선택의 결과로 낭패를 당한다 하더라도 과감하게 수용 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나의 삶에 대하여 전적으로 내통제력에 의해서만 좌우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나의 주관적인 선택에 의하여 결정된 바를 인정하고 겸허히 수용 할 수 있어야 어떠한 역경도 이겨나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결과에 대한 예측까지 신중을 기하여 대처하는 능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어떠한 결정에도 반드시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은 따라온다. 젊은이들이여! 자기결정에 두려워하지 말아라. 더 안전하고 더 의미있는 삶을 살기 위한 고민이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선택에 대해 너그러워질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