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옷의 왼쪽 어깨를 벗는다는 뜻으로 찬성의 의사를 표시하거나 한편이 된다는 것을 비유한 말.

 

한(漢)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皇后)인 여태후(呂太后)가 죽자(B.C. 180) 이제까지 그녀의 위세에 눌려 숨도 제대로 못 쉬고 살았던 유씨(劉氏) 일족과 진평(陳平) 주발(周勃) 등 고조의 유신(遺臣)들은 상장군(上將軍)이 되어, 북군(北軍)을 장악한 조왕(趙王) 여록(呂祿), 남군(南軍)을 장악한 여왕(呂王) 여산(呂産)을 비롯한 외척 여씨(呂氏) 타도에 나섰다.

그간 주색(酒色)에 빠진양 가장(假裝)했던 우승상(右丞相) 진평은 태위(太尉) 주발과 상의하여 우선 여록으로부터 상장군의 인수(印綬)를 회수하기로 했다. 마침 어린 황제를 보필하는 역기가 여록과 친한 사이임을 안 진평은 그를 여록에게 보냈다. 역기는 여록을 찾아가 황제의 뜻이라 속이고 상장군의 인수를 회수해 왔다.

그러자 주발은 즉시 북군의 병사들을 모아 놓고 이렇게 말했다. “원래 한실(漢室)의 주인은 유씨이다. 그런데 무엄하게도 여씨가 유씨를 누르고 실권(實權)을 장악하고 있으니 이는 한실의 불행이 아닐 수 없다. 이제, 나 상장군 주발은 천하를 바로잡으려고 한다. 여기서 여씨에게 충성하려는 자는 우단(右袒 : 오른쪽 소매를 벗는 것)하고, 나와 함께 유씨에게 충성하려는 자는 좌단(左袒 : 왼쪽 소매를 벗는 것)하라.” 그러자 장병들은 모두 왼쪽 소매를 벗어 유씨의 편을 드는 의사를 나타냈다고 한다. 이리하여 천하는 다시 유씨에게로 돌아갔다.

<해오름학원 서범석 원장의 한자여행>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