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위에서 병법을 말한다는 뜻으로, 실제적인 쓰임에서는 필요 없음을 비유한 말.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조(趙)나라의 장수인 조사(趙奢)는 슬하에 조괄(趙括)이란 아들을 두고 있었다.

조괄은 책 속의 어떤 문제를 제기하면 고금(古今)의 책들을 인용하여 그 장단점(長短點)을 잘도 짚어냈다.

어찌 보면 대장군(大將軍)인 그의 부친보다도 용병술에 대한 탁월한 이론가였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를 무척 경하했다.

그러나 대장군 조사만은 자기 아들이 실속이 없이 떠벌리고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아들에게 병사의 통솔을 맡기지 않았다.

조괄의 어머니가 아들을 홀대한다고 따져 묻자, 아버지는 이렇게 말하였다. “군대를 다스리는 것은 나라의 존망과 관련되는 일이오. 그런데 괄은 이 일을 너무 가볍게 생각하고 있소. 만일 괄에게 병권을 주면 나라를 망하게 할 것이오.”

효성왕 7년에 진나라가 조를 침공했다.

대장군 조사는 이미 세상을 떠난 후였고, 인상여는 병이 위독하여 노장(老將) 염파가 왕명을 받들어 장평(長平)이라는 곳에서 적과 대치하고 있는 상태였다.

진나라에서는 상당 시일이 경과했는데도 염파를 깨트리지 못하자 은밀히 간계를 꾸몄다.

그 내용은 뜻밖에도 ‘뭐니 뭐니 해도 진나라의 장수들은 조괄이라는 장수를 제일 두려워한다. 염파 정도야 시일이 지나면 함락시킬 것이지만, 조괄이 나선다면 사정이 달라질 것이 뻔하다.’라는 것이었다.

풍문(風聞)을 들은 효성왕은 염파를 불러들여 파직(罷職)시키고 대신 조괄을 대장으로 임명했다.

소식을 들은 조괄의 모친이 군왕에게 나아가 “조괄이 병서를 읽어 아는 것은 있으나 병사들을 민활하게 움직이는 데엔 무척 서투릅니다. 그러니 명을 거두어 주십시오.”라 상소하였다. 인상여도 같은 상서를 올렸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명(命)을 받은 조괄은 장평에 도착하여 염파의 병권을 이어받고, 기존(旣存)의 전략(戰略)을 바꾸어 즉시 진나라를 공격했다.

이때 진나라의 장수 백기(白起)는 거짓으로 패하는 척 달아나다 조괄의 군대를 두 갈래로 분산시키는데 성공했다.

그런데도 조괄은 그들의 뒤를 쫓았다.

그 덕분에 그의 병사들은 전나라 병사들에게 겹겹이 포위 당하는 신세가 되었고 결국 무참히 대패하고 말았다.

역사에는 이 전투를 ‘장평지화(長平之禍)’로 기록하고 있다. 조나라는 이 전투로 인해 국력이 반으로 줄었다.

또한 45만의 군병이 진나라 병사들에게 목숨을 빼았겼다. 이 얼마나 통탄할 일인가.

이 고사는 자신의 지식만 믿고 나섰다가 낭패를 당한 경우를 나타낸다.

결국 어설픈 지식은 한 번의 경험보다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준다. 또 한 가지, 적재적소에 맞는 인물의 배치라는 인사(人事)의 중요성을 말한다. 인사가 만사(萬事)라는 말과도 통한다.

<해오름 학원장, 극동정보대 겸임교수 서범석의 한자여행>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