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학 충북도의회 교육의원교육부장관

교육부장관은 지난 3월 28일 대통령에게 교육부 업무보고를 했다.
그 중에 중학교 학생들에게 꿈과 끼를 키울 수 있고,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방안으로 2016년까지 자유학기제를 전면적으로 도입 운영하겠다는 정책이 있다.
이는 중학교 때 한 학기 정도는 시험 부담을 줄이고 학생들마다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진로 체험을 하며 미래를 설계하는 기회를 갖게 하는 뜻에서 도입되는 신선한 정책이다.
필자는‘자유학기제를 한꺼번에 적용함은 무리니, 시범운영하며 점진적으로 확대해가고, 학교 실정에 맞는 다양한 선택권을 부여’한다는 등을 박근혜 대통령당선인께 건의한 바 있다.
다행히 교육부장관은 2013년은 37개 연구학교를 지정 운영, 2014년과 2015년에는 희망학교를 지정 운영하며, 2016년은 전면적으로 도입 운영하겠다고 한다.
자유학기 적용 시기는 학교마다 자율적으로 다른 학년, 다른 학기에 적용될 수 했다고 보고했다.
자유학기를 적용할 때는 지필고사 부담도 대폭 줄게 된다.
현재 서울시교육청이 시범으로 시행하는 진로탐색 집중학년제는 자유학기제 운영의 취지와 비슷하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에서 강력하게 추진하는 자유학기제의 모델은 전환학년제(Transition year)이다.
전환학년제는 아일랜드 국가가 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해 30년 이상의 피나는 노력을 통해 정착했다.
우리가 도입하려는‘자유학기제’와 흡사하지만, 우리나라는 2016년까지 모든 중학교에 자유학기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아일랜드의 예를 본다면, 우리는 보다 많은 인프라 구축과 충분한 연구가 필요로 한다 할 수 있다.
교육부가 자유학기제를 운영함에 철저한 준비 없이 확실한 대안과 충분한 인프라 없이 섣불리 시작했을 때 오히려 학생들은 귀중한 한 학기를 소홀하게 보낼 수도 있고, 차기 진행되는 학습에도 많은 지장을 가져올 수도 있음을 지적한다.
학생들의 학력까지 하락하고, 학교까지 불신하게 되며, 나아가 사교육 시장까지 번창될 수 있는 역기능이 우려된다.
따라서 자율학기제가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면 학교는 물론, 지자체, 공공기관, 기업체, 사설 교육단체와도 상호 연계하여 총체적인 교육연대도 시급한 실정이다.
교육부는 2013년 국정과제 실행 과제에서 병든 잎보다 뿌리를 살려나간다는 교육정책을 마련한다고 했다.
보다 치밀한 세부 실행 계획과 추진, 다양한 인프라 구축, 교원들의 심도 있는 현장 실천, 학생들과 학부모들을 위한 이해와 홍보 등이 실현되어야한다.
새 정부의 특별과제로 선택된 조화로운 자유학기제 운영을 통해 학생 자신들의 조기 진로 선택을 포함한 행복한 학교로 지향되기를 학수고대한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