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종 렬 전 음성교육장

 
 

선산이란 대대로 조상의 묘를 써 내려오는 곳을 이른다. 그런데 좋은 나무는 쓸 데가 많아서 다 베어가 없고 구부정해서 사납고 쓸모도 없는데다가 귀여움도 못 받는 나무가 그래도 끝까지 남아서 조상의 묘를 지켜 주고 있으니 이 어찌 고맙지 아니한가.

우리 속담에 '병신자식이 효도한다.'라는 말이 있다. 충분히 이해가 가는 말이다. 세상에 잘나지 못했다고, 가진 게 없다고, 제대로 내세울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스스로 돌아보며 생각할 말이다.

이솝우화에 곧고 높고 쭉쭉 뻗은 전나무가 자랑한다.

“나 정도는 되어야 군함 같은 큰 배를 만들지….”

그 옆의 가시나무가 비웃으며 말했다.

“도끼와 톱에 잘리는 건 생각을 못하는 군….”

장자가 어느 날 한 제자를 데리고 옛 친구를 찾아가느라 숲이 울창한 산을 지나다가 한 나무꾼을 만났다. 나무꾼은 잎과 가지가 무성한 나무 한 그루를 쳐다보더니 그냥 돌아서는 것이었다.
“나무를 베려다가 왜 그만두시오?”

장자가 묻자, 나무꾼이 대답했다.
“보아하니 쓸모가 없어서요.”

장자는 조금 가다가 혼잣말을 했다.
“저 나무는 재목감이 되지 못함으로써 천수를 다할 수 있겠군 그래.”
장자의 눈에는 보통 사람들이 쓸모 있다고 믿는 것은 하찮은 것이고, 반대로 ‘쓸모가 없다고 믿는 것이야말로 쓸모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무용지물(無用之物)’이란 아무 데도 쓸모없는 물건을 말한다. 그 무용지물이 때로는 ‘유용지물(有用之物)’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무 쓸모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실상보다 쓸모 있는 것이 되는 것이 ‘무용지용(無用之用)’이다.

우리 속담에 “굽은 나무가 선산을 지킨다”는 말이 있다. 굽은 나무는 사람의 눈으로 볼 때 못난 나무다. 못난 나무는 누구도 욕심을 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한 번 한 자리에 심어 놓으면 그 자리가 제 자리가 된다.

그러나 곧은 나무는 쓸모가 많은 나무다. 사람들이 보고 욕심을 내고 엔젠가는 베어가 버린다. 결국 그 선산을 지키는 나무는 굽어 쓸모없다고 생각하는 나무다. 못난 듯이 보이는 것이 나중까지 제 구실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요즘은 반듯하고 잘 생긴 나무보다 비틀어지고 기형적으로 생긴 나무가 잘 나가 범죄의 표적이 되곤 한다. 야산에 자생하는 100년 이상 수령의 기형 소나무가 고가에 거래되면서 주로 부유층의 별장 정원수로 팔려 나가기 때문이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집안에서 똑똑하다고 가르쳐 놓으면 집을 떠난다. 외부에서 성공했다는 소식을 들어도 외피만 그럴 듯하고 실제로 그를 양육하고 가르친 부모에게는 큰 혜택이 없다.

오히려 좀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가르치지 않은 아들이 부모 곁에 남아서 효도를 한다. 장애를 가졌다고 조금 소홀히 한 자식이 오히려 부모에게는 훨씬 잘하는 경우가 있다. 굽은 나무가 선산을 지키는 격이 되는 것이다.

굽은 나무가 선산을 지키고, 못난 자식이 효도한다. 잘난 자식은 바빠서 부모 얼굴도 못 본다. 그래도 부모 곁을 지키는 건 못난 자식이다.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