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준 식 전 음성교육지원청 행정과장

 
 

단순하던 원시시대의 인간관계가 인구 증가로 복잡해지고 서로 얽히고 설키면서 상호 상하 간에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인간들은 자신들이 형성하는 관계에 따라 혈연, 지연, 학연 등으로 서로 간의 관계를 구분하고 연결 짓게 되었다. 혈연관계는 가족과 그 외 형성되는 친족 관계로, 지연 관계는 같은 지역에서 크고 살아온 인연으로, 학연 관계는 동문수학한 관계 등으로 인연을 맺고 살아가고 있다. 그 외에도 이런저런 인연으로 모임을 만들어 친분관계를 유지하기도 하며, 이들의 모임은 서로 끈끈한 정으로 혹은 생활 관계로 복잡하고 다양하게 사슬로 엮여 살아가는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족관계가 가장 중심이고, 친족 관계로 이어지며, 혈연관계는 발전을 거듭하면서 성씨를 형성하게 되었다.

성씨는 중국에서 전래되어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고대시대에는 일부 왕족들이 사용하였으나, 신라 말 들어서는 귀족층까지 확대하여 쓰기 시작하였고, 신분 사회의 혼란한 시기를 틈타 많은 성씨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들은 모여 사는 지역에 따라 본관이 생겨나고, 그 지역의 세력가로 자리 잡게 되었다. 성씨는 외세의 침략이나 귀화, 중국과의 관계변화 등을 겪으면서 없어지기도 하고 새로 생겨나기도 하면서 변화하였다. 동조동성동본이 기본이기는 하나, 같은 시조 아래 성이 다른 경우도 있고, 다른 시조를 모시면서도 성과 본이 같은 경우가 생겨났다.

성씨는 혈통을 상징하기도 하고 출신 지역을 나타내기도 했다. 초기에는 성(姓)에서 보듯이 어머니의 성을 따르던 것이 아버지의 씨(氏)를 따라 계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통치수단으로서 성씨를 하사하기도 했고, 성씨별로 모여 살도록 하여 백성을 통치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했다. 성씨를 통하여 신분적 지위와 집단적 신분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였다. 이로써 성씨는 혈통을, 본관은 지역을 나타내게 되었다.

세계 어느 나라든 낳아준 부모가 있고 조상이 있기 때문에 성씨와 족보가 있게 마련이다. 성씨가 형성된 과정을 보면 부모의 직업이나 조상이 살던 장소를 성씨로 하기도 하고 출생 당시의 환경을 성씨로 하기도 했다. 결혼을 하면 여자의 성씨가 남편 성을 따르는 나라도 있고, 부모와 자식의 성이 달라지는 나라도 있다. 또 아랍에는 성씨가 없고 이름에 아버지나 할아버지 이름을 붙이거나 고향이나 출신 부족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또 성씨가 편중되어 미국의 경우는 스미스, 존슨, 카슨이 대승이고, 프랑스는 마르텡, 베르나르, 뒤풍 등의 성씨가, 일본은 사토, 스즈키, 다카하시 등이 대승이다. 우리나라 경우는 김, 이, 박, 최 사대 성씨가 인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인의 성씨는 원래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고, 외세의 침략이나 교류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은 바도 있다. 근래 들어서는 국제결혼이나 귀화 등에 의하여 외국 성씨를 가져와 사용하기도 하고 새로운 성씨를 만들기도 한다. 수 대에 걸쳐 부계혈통으로 이어 내려온 성씨도 어머니의 성씨를 따르기도 하고, 재가할 경우 자녀의 성씨를 바꾸기도 한다. 성씨를 가지고 양반이니, 상놈이니 하는 것도, 명문가니 하는 것도 다 부질없는 분류법이다. 성씨는 단지 사람과 사람을 구별하는 것이면 족하다.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음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